티스토리 뷰
1편에서는 학생용 Azure 등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엔 가상머신으로 가상서버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1. 가상머신으로 가상서버 만들기
1) 가상머신탭으로 이동하여 가상머신 만들기 클릭
2) 기본사항
- 리소스그룹 : myResourceGroup
- 가상머신이름: 원하는 이름 입력
- 지역 : 대한민국 중부
- 이미지 : Windows Server 2016 Datacenter
- 크키 : 크기변경을 클릭하고 B1s를 선택 (B1s의 경우 12개월 무료)
- 사용자이름 : 원격데스크톱 연결 아이디로 쓰임
- 암호 : 원하는 암호로 입력
- 공용인바운드 포트 : HTTP(80)와 RDP(3389) 선택
* 크기변경 클릭시 나오는 창 (B1s 선택)
3)디스크
- OS 디스크 유형 : 표준 HDD의 경우 하루 비용 200원이므로, 12개월간 $100 내외로 사용이 가능
(가상머신 정지후 OS 디스크 유형을 변경할 수 있으니 SDD를 사용 후 표준 HDD로 바꿔도 됨)
4) 네트워킹
- 가상네트워크 : 자동생성 됨
- 서브넷 : 자동생성 됨
- 공용인바운드 포트 : 기본사항에서 설정했음
5) 관리
- 진단 저장소 계정 : 원하는 명칭으로 만들어주면 됨
6) 게스트 구성, 태그는 넘겨줍니다.
7) 검토 + 만들기
- 위의 내용대로 잘되었으면 유효성 검사 통과가 됩니다. 이제 만들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2. 가상서버 DNS 설정
DNS를 구성하는 이유는 공용 IP 주소를 사용하여 접속을 할 수 도 있지만, 가상서버를 정지 후,
다시 가동할 경우 공용 IP 주소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고정적인 DNS가 필요합니다.
1) 가상머신에서 자신이 만든 서버를 클릭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DNS 이름 밑에 구성을 눌러줍니다.
2) 자신이 원하는 DNS 명칭을 입력하고 저장을 눌러줍니다.
3. 가상서버 방화벽 구성
여기서 인바운드 포트를 설정하지 않으면, 가상서버에서 인바운드포트를 열어놓아도, 접근이 되지 않습니다. Iptime과 같은 공유기를 활용해보신 분들은 DMZ 설정이나 인바운드 포트를 설정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네트워킹탭을 선택 시 아래와 같은 인바운드 포트, 아웃바인드 포트 규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인바운드 코드 규칙추가 클릭 ( 21, 20, 60000-63000 세 개의 포트 추가)
- 대상포트 범위 : 21
- 프로토콜 : TCP 선택
- 우선순위 : 포트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 변경하지 않아도 상관없음
- 포트이름 : Port_21
* 포트 3개 추가가 완료된 화면
!! 가상서버 삭제
가상서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체험용 Azure 경우 30일 이후 과금이 되므로 리소스를 제대로 삭제해야 합니다. 그래서 삭제하는 방법을 추가로 설명합니다.
- 모든 리소스 탭을 선택하고 거기서 전체 선택 후 삭제를 해주시면 됩니다.
- Azure를 사용하지 않고 싶을 경우는 비용 관리 + 청구로 가서 구독 취소를 하시면 됩니다.
Azure에서 가상머신을 활용하여 가상서버를 만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상서버로 접속하여, FTP서버 구성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조사이트
'애저(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저(Azure)] 학생용 Azure를 활용한 FTP 서버 만들기 -1- (0) | 2018.12.11 |
---|